Ticker

6/recent/ticker-posts

창세기 38장 12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창세기 38장 12절부터 23절까지의 말씀은, 유다가 며느리 다말과 불의한 관계를 맺음으로 인하여 복잡한 관계들이 진행되는 내용입니다. 유다의 집안은 악행과 죄로 가득 차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생명의 삶 큐티와 새벽설교에 대한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창세기 38장 12절-23절



창세기 38장 12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12절, 주석과 해설


위로를 받은 후에

즉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는 애통 기간이 다 지나간 후를 가리킨다.


딤나

벧세메스 부근의 유다 족속 영토의 경계지에 위치한 성읍이다(수 15:10).



13절, 양털을 깎으려고


유목민들에게 이 양털 깎는 행사는 매우 바쁜 축제일로서 큰 잔치와 함께 여러 날이 걸린다(31:19, 삼상 25:4, 11) 특히 이런 날에는 모든 사람이 술에 취해 분별력을 상실하기 때문에 다말은 이 날을 행동 개시일로 잡은 것 같다.



14절, 주석과 해설


과부의 의복을 벗고

고대에는 과부가 사회적인 문제였으며 구제와 보호의 대상이 되었다(출 22:21, 22, 신 14:29). 따라서 일반 여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아마 과부의 의복은 색깔이나 모양이 특이했던 것 같다.


너울로 얼굴을 가리고

과부의 의복이 과부라는 신분을 나타내 주었듯이 당시 너울을 쓰는 등 몇가지 일을 행하면 그것은 곧 창녀라는 표시가 되었던 것 같다(15절).


문에 앉으니

다말은 과부의 의복 대신 사치스러운 창녀의 복장으로 차려입은 후 시부(媤父) 유다를 유혹하기 위해 광장에 나가 앉았다. 다말의 이런 행위는 물론 단순한 정욕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이는 (1) 남편의 ‘씨’를 남겨 한 가문의 여자로서 떳떳이 자신의 권리를 유지하려는 무서운 집념의 결과였고 (2) 게다가 계대 결혼 규약을 준수하지 않은데 대한 일종의 자구책이었다. 그러므로 이 일은 후에 유다에 의해 ‘옳은 일’(26절)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관습법이 그러한 행위를 정당한 일로 간주하였다 해도 기독교 윤리적 측면에서 볼 때에는 분명 엄연한 간음죄와 근친 상간 죄에 해당한다.



15절, 창녀


‘간음하다’란 뜻의 ‘자나’에서 유래된 말로 일반적인 ‘매춘부’ 혹은 ‘공창’(公娼)을 의미한다. 이들은 창녀임을 드러내는 표시를 지니고 있었으며(잠 7:10, 렘 3:3) 자신의 집을 갖고 있었다(렘 5:7). 여호수아에 의해 파견된 정탐꾼들을 숨겨준 라합도 이 말로 불려졌다(수 2:1).



16절, 주석과 해설


나로 네게 들어가게 하라

‘너의 몸을 내게 허락하라’는 뜻의 완곡한 표현이다. 아마 이때 유다는 큰 잔치로 인하여 술에 취해 이성과 도덕 양심이 흐려 있었던 것 같다.


무엇을 주고 내게 들어오려느냐

창녀는 몸을 준 대가로 얼마간의 화대를 받는데(신 23:19) 고대에는 일반적인 화대가 염소 한 마리 값에 준한듯하다(17절, 삿 15:1). 그러나 다말의 이 요구는 훗날을 대비하여 뚜렷한 증거물을 남겨 두려는 치밀한 계획에서 나온 것이다.



17절, 담보물


‘저당잡히다’, ‘보증하다’란 뜻을 지닌 ‘아라브’에서 파생된 명사로 ‘저당물’ 혹은 ‘담보’란 의미이다. 바울은 이 말을 헬라어로 ‘아라본’이라고 음역하여 성령을 가리킬 때 사용하였다(고후 5:5, 엡 1:14).



18절, 주석과 해설


도장

소유자의 신분과 권리를 나타내는 도장은 각 개인의 기본 휴대품이었다. 당시 고대 근동 사람들은 반지형 도장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손가락에 끼거나(41:42) 혹은 원통형으로서 목에 걸고 다녔다(아 8:6).


지팡이

개인 장신구로써 꽃이나 짐승들의 모양이 새겨져 있는데 부족을 상징하는 일종의 신물(信物)처럼 항상 지니고 다녔다. 다말은 가장 확실한 증거물로 이것들을 요구했고 유다는 후에 염소 새끼와 교환할 생각으로 선뜻 내주었다.



20절, 친구 … 손에 부탁하여


유다는 축제 분위기에 휩쓸려 저지른 자신의 행실이 공개적으로 알려질까 부끄러워하여, 이런 일에 별로 무감각한 가나안 친구를 통해 화대를 갚고 담보물을 찾게 했을 것이다.



21절, 창녀


‘거룩한’ 혹은 ‘봉헌하다’란 뜻을 가진 ‘카다쉬’에서 파생된 말로 15절에 나타난 창녀(조나)라는 말과는 그 개념이 다르다. 즉 당시 가나안 땅에는 ‘조나’와 ‘케데솨’라고 불리우는 두 종류의 창녀들이 있었다. ‘조나’는 통상적인 일반 창녀들을 가리키는 반면, ‘케데솨’는 우상 숭배를 위하여 ‘거룩히 구별된 여자’란 뜻이다. 생식력(生殖力)을 주관한다고 생각한 당시 가나안 땅의 여신 아스다롯(Astaroth)을 섬기기 위해 헌신된 자를 가리켰다. 이들은 음란 행위를 통하여 여신을 섬기는(신 23:18) 성창녀(聖娼女)로서 당시 가나안 땅의 음란한 풍습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Pulpit).



23절, 주석과 해설


부끄러움을 당할까 하노라

범죄한 사실에 대한 죄책감보다는 소문으로 인해 훼손될지도 모를 자신의 위신과 명예를 더 두려워한 위선적인 행위이다. 그러나 진실한 성도는 사람의 눈보다 하나님의 눈을 더 두려워해야 한다(마 10:28).


염소 새끼를 보내었으나 … 찾지 못하였느니라

‘약속한 바를 내가 이행한 것에 대해 그대가 증인이다’는 의미이다. 이는 자기의 할 바를 다했다는 뜻으로 창녀와의 상거래 도의만을 생각하는 유다의 도덕적 차원을 보여 준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