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8일 월요일의 매일성경 묵상 본문인 예레미야애가 5:11-22를 통하여 예루살렘의 황폐화는 하나님의 부재로 인한 필연적 결과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 없는 삶의 허상과 죄의 결과를 직시하되, 영원히 계시는 하나님의 보좌를 신뢰하며 회복을 소망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결코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시는 신실하신 분이십니다. 예레미야애가 5장 11절-22절, 어찌하여 우리를 잊으시나이까 함께 할 찬송 새 찬송가 447장, 이 세상 끝날까지 새 찬송가 382장 너 근심 걱정 말아라 서론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말씀은 예레미야 선지자의 애통한 탄식이 담긴 예레미야애가 5장의 말씀입니다. 오늘 이 새벽에는 특별히 11절부터 22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본론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성전이 무너진 후, 예레미야 선지자는 자신의 눈으로 목격한 참상을 기록했습니다. 그의 글에는 깊은 아픔과 탄식이 배어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영원하신 하나님의 보좌를 향한 흔들리지 않는 신뢰도 함께 담겨있습니다. 1. 예루살렘의 비극적 현실 먼저 11절과 12절을 보시겠습니다. 예레미야애가 5:11-12, 대적들이 시온에서 부녀들을, 유다 각 성읍에서 처녀들을 욕보였나이다 지도자들은 그들의 손에 매달리고 장로들의 얼굴도 존경을 받지 못하나이다 시온에서 여인들이 욕보임을 당하며 유다 각 성에서 처녀들이 욕보임을 당하며 방백들의 손이 매어달리며 장로들의 얼굴이 존경을 받지 못하나이다" 이 구절들은 하나님의 임재가 떠난 자리에 찾아온 비극적 현실을 보여줍니다. 존귀해야 할 여인들이 모욕을 당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장로들이 멸시받는 모습은 단순한 사회 질서의 붕괴를 넘어 하나님의 창조 질서가 무너진 것을 의미합니다. 이같은 비극적인 현실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습과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잊은 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쉽게 훼손되고 맙니다. 2. 하나님 없는 평안의 허상 13절과 14절은 더욱 비참한 현실을 ...
구약장이가 성서유니온의 매일성경을 큐티하고 새벽설교를 준비하고, 강해 자료와 주석 자료, 그리고 해설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