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요한삼서인 게시물 표시

요한3서 1장 1절-15절, 범사에 강건한 삶을 위한 3가지 방법 - 매일성경 큐티 새벽예배설교문

오늘의 매일성경 큐티 본문은 요한3서 1장 1절부터 15절까지의 말씀으로, 성도들이 범사에 강건한 삶을 살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요한이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요한은 범사에 강건한 성도가 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일들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본문을 큐티하고 새벽예배설교문을 정리하였습니다. 요한3서 1장 1절-15절, 범사에 강건한 삶을 위한 3가지 방법 함께 하는 찬송 새 찬송가 465장, 주 믿는 나 남 위해 새 찬송가 454장, 주와 같이 되기를 본문으로 들어가기 사도 요한은 교회 안에 갈등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편지를 썼습니다. 당시에는 여러 지역과 교회를 다니면서 복음을 전하는 순회 전도자들이 있었는데, 교회 공동체는 이들을 섬겨야 했습니다. 요한은 이와 관련된 세 사람을 언급하며 진리를 위하여 함께 일하는 자가 될 것을 요청했습니다.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건강한 신앙의 성도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범사에 강건한 삶을 위한 3가지 방법 그렇다면, 범사에 강건한 성도는 어떠해야 합니까? 1. 가이오처럼 최선을 다해 형제를 섬겨야 합니다. 가이오는 선교 여행 중인 순회 전도자들을 환대하고 지원했습니다. 요한3서 1:8, 그러므로 우리가 이같은 자들을 영접하는 것이 마땅하니 이는 우리로 진리를 위하여 함께 일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함이라 이들은 다른 교회나 선교 공동체에서 파송된 사람들로, 당시의 교회는 이들이 오면 지원하고 섬겨야 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일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헌신하는 사역자들이었고, 이방인에게는 아무런 사례를 받지 않고 사역했기 때문입니다. 요한은 그들을 섬기는 것이 성도의 마땅한 일이라고 했고, 가이오는 이러한 지침대로 전도자들을 신실하게 섬겼습니다. 가이오의 후한 섬김은 여러 곳을 떠돌며 지쳤던 순회 전도자들에게 위로가 되었고, 이후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요한은 이러한 모습을 칭찬하면서 다른 성도들도 가이오처럼 사랑으로 섬기길 요청했습니다....

요한 삼서 1장 9절-15절, 훼방하는 자와 돕는 자 - 매일성경 큐티 주석과 해설 정리

사도 요한은 매일성경 큐티 본문인 요한 삼서 1장 9절부터 15절까지의 말씀을 통해서, 디오드레베와 데메드리오를 언급하고 각각을 칭찬하거나 책망하고 있습니다. 교회의 일군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묵상과 새벽설교 준비를 위한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요한 삼서 1장 9절-15절, 훼방하는 자와 돕는 자 9절, 주석과 해설 내가 두어 자를 교회에게 썼으나 ‘두어자’에 해당하는 헬라어 ‘티’은 가이오에게 보내고 있는 본서 이전에 다른 편지 하나가 보내졌음을 보여준다(Lenski, Barker, Stott, Smalley). 이 편지에 대해 혹자는 요한이서라고 주장하지만(Lenski), 요한이서가 영지주의의 그릇된 가르침에 대해 강하게 대항하고 있는데 반해 본서에는 이단의 주장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타당치 않다(Smalley). ‘썼으나’의 헬라어 ‘에그라프사’은 과거에 이미 완료된 것을 의미하므로 이 편지는 본서 이전에 보내진 것으로 일련의 형제들에 의해 전해졌고 그들이 돌아와서 장로에게 보고하는 과정에서 가이오가 언급된 듯하다(3절, Smalley). 요한이 먼저 보낸 ‘두어 자’의 내용은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9,10절로 추측할 수 있다. 즉 그것은 보내는 선교사들을 접대해 줄 것과 그들의 여행을 지원해 달라는 요청이었던 듯하다. 이러한 내용의 편지는 오만한 디오드레베에 의해서 무시되었다(Barker, Stott, Small- ey). 혹자는 가이오가 디오드레베와 같은 지역 내의 다른 교회 회원으로 그 모임의 지도자였다고 주장한다(Dodd). 그러나 가이오가 디오드레베가 속한 교회의 일원일 가능성이 더 크다. 왜냐하면 가이오를 디오디레베가 지도자로 있는 회중 중의 한 일원으로 볼 때, 9,10절의 내용이 보다 더 분명히 이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이오가 어려운 상황으로 몰리게 되었음을 설명되기 때문이다(Smalley, Marshall, Barker). 저희 중에 으뜸되기를 좋아하는 디오드레베가 우리를 접대하지 아니하니 아마도 디오드레베와...

요한 삼서 1장 1절-8절, 환대의 사람 - 매일성경큐티 주석과 해설 정리

장로로 자신을 소개한 요한은, 요한 삼서 1장 1절부터 8절까지의 말씀을 통하여 가이오를 축복하고 있습니다. 요한이 가이오를 축복한 이유는,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들을 따뜻하게 환대하였기 때문입니다. 매일성경 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요한 삼서 1장 1절-8절, 환대의 사람 1절, 주석과 해설 장로는 사랑하는 가이오 … 편지하노라 사도 요한의 세 번째 편지는 매우 개인적인 것으로(Barker) 수신자 가이오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이 글 전반에서 발견된다(Barker, Smalley). 이 편지는 바울이 빌레몬에게 보냈던 것과 성격상 유사하다(Wilder, Smalley). 요한은 본 절에서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장로’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장로’는 사제나 감독처럼, 일정지역에서 영향있는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직임을 나타내는 듯하다(Stott, Smalley). 한편 수신자인 ‘가이오’는 당시에 흔한 이름이었으며(Barker, Stott, Smalley, Wilder, Lenski) 그 뜻은 ‘기쁨’, ‘환희’이다. 가이오라는 이름은 세 사람에게서 발견된다. (1)바울이 침례를 주고, 후에 데살로니가의 첫 감독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고린도의 가이오(롬16:23, 고전1:14). (2)바울의 동역자로 데살로니가와 아리스다고 그리고 에베소에서 고난을 같이 한 마게도냐의 가이오(행19:29). (3)바울의 마지막 선교 여행에서 그리스로부터 마게도냐를 지나 드로아까지 동행한 더베의 가이오(행20:4). 4세기 경의 사도적 관행(Apostolical Constitutions)에 보면(vii. 46. 9). 이 세 번째 가이오가 나중에 요한 사도에 의해서 버가모의 첫 감독으로 임명되어진 것으로 보아 이 가이오가 본서의 수신자인 듯하다(Barker, Stott, Smalley). 곧 나의 참으로 사랑하는 자에게 ‘나의’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고’은 1인칭 대명사로 흔히 생략되기 쉬우나 본 절에서는 강조되어 표현되고 있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