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마가복음 11:12-26, 무화과나무와 성전 - 매일성경 큐티 구조와 주석

2024년 3월 14일 목요일의 매일성경 큐티 본문은 마가복음 11:12-26의 말씀입니다.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예수님은, 다음 날에 예루살렘 성전을 찾으셨습니다. 그 과정 중에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시고, 강도의 소굴이 되어버린 성전을 청결하게 하셨습니다. 본문의 큐티와 새벽예배설교를 준비하기 위한 구조와 주석입니다.


마가복음 11:12-26, 무화과나무와 성전 - 매일성경 큐티 구조와 주석


마가복음 11:12-26, 무화과나무와 성전



함께 할 찬송


  • 새 찬송가 425장, 주님의 뜻을 이루소서



본문의 구조


1.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 (12-14절)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다음 날, 예수님은 베다니에서 나오시며 시장하셔서 무화과나무에게 가셨습니다. 그러나 이 무화과나무에는 잎사귀만 있을 뿐, 열매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무화과의 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은 이 나무를 저주하셨습니다.


2. 성전을 청결케 하신 예수님 (15-19절)

이어서 예수님은 예루살렘 성전에 들어가셨습니다. 성전 마당에는 장사하는 사람들로 가득했고, 그들의 흥정 소리와 동전 소리, 그리고 짐승들 소리로 어수선하였습니다. 성전은 하나님께 예배 드리고 기도하는 집임에도 불구하고 강도의 소굴로 만든 모든 이들을 예수님께서 쫓아 내셨습니다.


3. 말라버린 무화과나무 (20-26절)

전날 예수님께서 저주하셨던 무화과나무는 완전히 말라 버렸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본 베드로가 예수님께 질문하였고, 예수님은 믿음으로 기도할 때는 반드시 이루어질 것임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믿음의 기도는 역사를 일으킵니다.



마가복음 11:12-26, 무화과나무와 성전 - 매일성경 큐티 구조와 주석



본문의 주석


1. 11:12-26 주석

마태복음에서는 성전 정화(마태복음 21:12-17)와 무화과나무 저주(21:18-20)를 별개의 사건으로 기록했습니다. 마가복음에서는 무화과나무 저주(막 11:12-14)와 시듦(20-21절)을 나누고, 그 사이에 성전 정화를 배치했습니다(15-19절). 이로써 그는 독자들이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이스라엘을 상징)와 열매 없는 성전 사이의 연관성을 보도록 의도했습니다. 예수님이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신 것은 예루살렘과 성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보여주는 행동으로 이루어진 비유였습니다.


2. 11:12 주석

그 다음 날은 고난주간의 월요일이었습니다.


3. 11:13 주석

예수님은 잎사귀 외에는 아무것도 맺지 않은 무화과나무를 발견하셨습니다. 무화과 철이 아니었음에도 잎사귀가 무성한 나무에는 식용 꽃봉오리(헬라어 파김)가 덮여 있어야 했습니다.


4. 11:14 주석

예수님의 말씀은 저주를 나타냅니다(21절). 이것은 마가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마지막 이적이자 복음서에서 파괴의 이적으로는 유일한 것입니다. 구약에서 무화과나무는 이스라엘을 상징했습니다(예레미야 24:1-10; 호세아 9:10; 누가복음 13:6-9 참조). 이 에피소드는 예레미야 8:13; 호세아 2:12; 말라기 7:1을 기억나게 합니다.


5. 11:15-18 주석

성경은 메시아가 성전을 정화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에스겔 37:26-28; 말라기 3:1-4). 예수님의 성전 정화는 분명히 메시아가 하시는 일입니다. 요한은 그의 복음서 초반에 성전 정화를 기록했습니다(요한복음 2:13-17).


6. 11:15 주석

전날 성전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주목한 예수님은 이제 대부분의 매매가 이루어졌던 이방인의 뜰로 돌아왔을 것입니다. 멀리서 여행 온 사람들은 유월절에 도착하면 순수하고 흠 없는 동물을 구입해야 했습니다. 환전상들은 우상이 새겨진 그리스와 로마의 동전을 이미지가 없는 티리언 또는 유대인 성전 동전으로 환전해 주었는데, 이 동전은 희생물을 구입하거나 성전 세금을 내는 데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출애굽기 30:11-16). 비둘기들은 출산 후(레위기 12:6-8; 누가복음 2:22-24), 정결케 된 문둥병자(레위기 14:22), 신체 분비물로 치유된 사람들(15:14, 29), 더 비싼 희생물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5:7, 11)에 의해 바쳐졌습니다. 양과 소도 팔렸습니다(요한복음 2:14). 이방인의 뜰은 사실상 가축 우리가 되어 있었습니다.


7. 11:16 주석

마가복음에서만 이 구절에 부적절한 통행로나 지름길로 성전을 이용한 내용을 추가하여 더욱 부적절한 성전 사용을 나타냅니다.


8. 11:17 주석

예수님이 인용하신 글은 이사야 56:7이었습니다. 마가복음에서만 '모든 민족'을 추가했습니다. 도둑의 소굴이라는 인용구는 예레미야 7:11로, 예레미야가 성전에 가는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비난하고 성전의 파괴를 예언한 설교의 일부입니다(7:12-15).


9. 11:18 주석

17절의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인 "도둑들"(헬라어 레스테스)은 예수님이 마치 도둑("범죄자")처럼 체포되고 사흘 만에 두 도둑("범죄자") 사이에서 십자가에 달리실 것을 예고하는 말씀이었습니다(14:48; 15:27). 그를 죽일 방도라는 말씀은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원들이 3:6에서 꾸민 음모와 관련이 있습니다.


10. 11:19-20 주석

무화과나무의 파괴는 호세아 9:10, 16을 연상시킵니다.


11. 11:21 주석

이것은 마가가 베드로가 예수님을 랍비라고 부른 것을 기록한 두 번째 본문입니다(9:5). 베드로는 제자들의 대변인 역할을 했습니다(8:29, 32; 9:5; 10:28).


12. 11:22 주석

믿음의 대상은 성전이 아니라 하나님입니다.


13. 11:23-24 주석

예수님의 믿음과 불가능에 대한 말씀(고린도전서 13:2 참조)은 진지한 공식인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3:28; 8:12; 9:1, 41; 10:15, 29 참조)로 시작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약속의 성취를 위한 부정적인 조건(그의 마음에 의심하지 않음)과 긍정적인 조건(그러나 믿음)을 제시하셨습니다(야고보서 1:6 참조).


14. 11:25 주석

청원이 받아들여지기 위한 두 번째 조건은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입니다. 서서 기도하는 것은 유대인들이 공개 기도를 할 때 일반적인 자세였습니다(누가복음 18:9-14 참조). 누구든지에게 원한을 품는 자는 마태복음 5:23-24(마태복음 18:21-35 참조)를 상기시킵니다.



참고할 글



댓글 쓰기

0 댓글